본문 바로가기
@ '통계학' 당주힘실

[당주힘실 통계학] 0. 시작_통계이론사전

by jjsm1000:) 2022. 8. 11.

당.주.힘.실 : 당신의 주장에 힘을 실어줄

 


 

학교에서 배운 통계학은 실전에 필요하지 않을 것이라 예상했습니다

학교에서 통계학을 배울 때는 낯선 용어를 복잡한 수학법으로 무언가 예상이 필요한 분야에 쓰이는 것으로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저는 무언가 배울 때 눈에 보이지 않거나 실제 체감하기 힘든 분야라면 흥미를 갖지 않았습니다. 통계학에 대한 이론을 배우고 그 이론에 따라오는 예제 문제를 풀어보고 정답 맞추는 것이 전부였습니다. 물론 너무나 많은 산업 분야에 통계라는 부분은 중요한 것을 인지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 산업 분야에는 적절한 통계 시스템이 이미 적용되어 시간에 따른 데이터만 추출되면 실시간으로 그 통계를 내고 결과와 예측까지 하고 있기 때문에, 기초가 되는 이론은 실전과 동떨어져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물론 실전에 적용되기까지 기초가 되는 이론을 꿰뚫는 것까지는 아니더라도 이런 것이 있다 수준을 알고 가는 것은 당연합니다. 실제 연구된 깊은 학문을 무시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어 해당을 전공하는 교수님, 연구자들 앞에서 경거망동한 생각일 수 있습니다. 기초를 전부 체득한 사람이 하는 말도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많은 공대생은 충분히 공감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왜 블로그를 시작하면서 저는 다시 이 분야를 선정했을까?

 

회사에서는 결과물에 대한 결론을 짓고 그 이유를 말합니다

여러 공학 분야가 있지만 연구에 따른 것, 양산 중 공정에 따른 것에 대한 모든 결과가 있습니다. 그 결과에 대한 원인을 찾아내기도 합니다. 우리는 이 모든 것을 수행하는 것뿐만 아니라 그 결과물 자체로 두지 않고 예를 들면 양산성이 있다 와 같은 결론을 내야 합니다. 그리고 그 결론에 대한 이유를 말해야 이 프로세스가 완성됩니다. 엔지니어뿐 아니라 모든 산업군에 종사하는 사람 중에 결과물에 대한 결론을 보이는 일에는 사람들에게 이러한 과정으로 납득시켜야 비즈니스가 되고 문제를 해결할 실질적 승인이 이루어집니다.

 

주장에 힘을 실어주기 때문에 일하면서 늘 찾아보게 되는 통계학

실제로 저도 일하면서 위와 같은 업무를 진행했고 사람들을 설득할 때 어떤 식으로 접근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고 가독성이 좋을까를 고민했습니다. 이때 기초적인 통계이론을 사용한 근거는 엄청난 힘을 갖습니다. 굳이 그 원리나 통계적인 접근을 설명하지 않아도 단순히 엑셀을 통해 자동화된 그래프를 적용해 보여주는 것보다 과학적 근거에 힘입은 통계 이론을 가져다 이야기한다는 것은 내가 내린 결론을 더욱 당당하게 만들어 줍니다. 

 

다시 열어보는 통계학을 공유하면서 저와 이 글을 열람하시는 분들이 모두 동반 성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저는 통계학을 전공했다거나 더 깊은 학구열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그저 일하는 중에 도움이 됐기 때문에 포스팅합니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작성할 예정이지만 굳이 통용되는 통계학 단어를 변형하지 않을 예정입니다. 그리고 잘못된 정보를 전달하게 되거나 내용의 왜곡을 방지하여 지나친 집약은 하지 않겠습니다. 필요한 분야, 적재적소에 사용되거나 통계 관련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가이드, 통계이론 사전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포스팅하겠습니다.

 

그럼 통계학을 무엇으로 정의하고 그 목표는 무엇인지부터 알아보겠습니다.

 

한 줄 요약
통계 이론은 결론을 설명할 때 좋은 도구가 될 수 있다

 


 

댓글